본문 바로가기

건강

돌발성 난청 치료의 골든타임 : 빨리 병원가세요

반응형

과거에는 난청이라는 병명은 노화로 인해 노년층에서 겪는 증상이라고 여겼습니다. 그런데 고령화와 소음 환경 증가, 스트레스 등으로 난청 환자가 해년마다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난청은 말이나 소리를 듣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말합니다.

 

돌발성 난청이란

 

난청의 주요 증상은 청력장애지만 대부분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에 본인이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갑자기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돌발성 난청이라고 합니다. 돌발성 난청은 그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병으로 바이러스 감염이나 종양, 정신적 원인 등 여러 이유로 발생합니다.

 

돌발성 난청에 대한 진단은 순음청력검사에서 3개 이상의 연속된 주파수에서 30dB 이상의 청력손실이 3일 내에 발생하였을 때 감각신경성 난청이라 진단합니다. 이때 귀에서 소리가 나는 이명이나 귀가 꽉 찬 느낌이 드는 충만감, 어지러움이나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돌발성 난청을 방치하면 청력을 소실할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하며, 귀가 평소와 다르게 이상하다고 느껴지는 경우 그대로 두지 말고 병원을 찾아야 합니다. 최대 2주 내에 병원을 찾으라고 하지만 빠르면 빠를수록 회복이 좋으니 가능하면 빠르게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돌발성 난청 후기

 

저 역시 돌발성 난청을 처음 경험한 때가 직장생활을 시작한 첫 해 겨울이었습니다. 지금에서야 그때를 돌이켜보면 첫 직장생활에 대한 긴장감과 스트레스, 1시간 넘게 버스를 타고 다니다 보니 체력적으로 힘들었던 것 같습니다. 어느 날 자고 일어나니 한쪽 귀가 마치 산에 올라간 것처럼 먹먹했고, 삐- 하는 소리가 일정하게 들렸습니다.

 

다행히도 그 시기는 한창 뉴스에서 돌발성 난청에 대해 떠들던 시기였고, 뉴스를 본 저는 퇴근 후 병원으로 갔습니다. 물론 몇몇 검사 이후에 돌발성 난청이란 진단을 받았고요. 의사 선생님은 일단 푹 쉬어야 한다며, 스트레스를 줄이라고 하였습니다. 치료는 해봐야겠지만 청력을 회복 못할 수도 있다는 말은 굉장히 공포스러웠던 기억이 납니다. 이제 막 사회에 진입한 사회초년생에게 청력 소실이라니..

 

퇴근 후 가까스로 간 병원이라 문을 닫을 시간이 지났지만, 저 혼자 남아 회복실에서 영양제를 맞으며 누워있었습니다. 덕분에 퇴근이 늦으신 간호사 한 분이 기다리셨지요. 그 후 며칠간 약을 먹으며 병원을 다녔고, 다행히 정상적으로 회복할 수 있었습니다.

 

돌발성 난청에 대해 찾아보니 예후가 좋지 않은 병이고, 보통 영양제와 스테로이드 처방을 받는다고 합니다. 가장 좋은 것은 컨디션을 조절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줄이고 체력을 회복하는 것이 가장 우선이었습니다. 거북목, 일자목 등을 피하고 올바른 자세로 생활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힘들면 조용히 다시 찾아와

 

아무래도 컨디션과 스트레스, 면역과 관계된 질환인지라 몸이 힘들고 컨디션이 떨어지면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 역시 처음 돌발성 난청을 겪은 이후에 두 번 정도 더 질환을 겪었습니다. 모두 제가 체력적으로 힘들고 스트레스를 받던 시기였습니다. 사람마다 약한 부위가 있고 컨디션이 떨어지면 그 부분부터 아프게 되는데, 저는 귀가 약해서 그런지 귀와 관련된 질환들을 많이 경험하는 것 같습니다. 계속적인 컨디션 조절이 필수인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도 필수적인 것은 귀에 이상을 느꼈을 때 바로 병원을 찾는 것입니다. 제가 3번이나 돌발성 난청을 경험하고도 청력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증상이 발현하면 하루 이틀 내에 병원에 가서 처방을 받고 컨디션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는 점입니다. 뉴스에서는 2주 내에 병원을 가라고 하지만 최대한 빠르게 병원을 가는 것이 돌발성 난청을 극복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난청은 매우 흔한 질환이고 통증이 없어 다른 질환보다 관심이 적은 편입니다. 그럼에도 처음 겪는 사람에겐 굉장히 당황스럽고 예후가 좋지 않다고 하여 더욱 무서운 질병입니다. 이 글을 보는 내가 만약 이명이나 귀 충만감이 있다면 빠른 시일 내에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728x90
반응형